第 27 . 妙莊嚴王本事品 (1)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한 문
第 27 . 妙莊嚴王本事品 (1) 제 27 . 묘장엄왕본사품 (1)
1, 爾時에 佛告諸大衆하사대 이시 불고제대중 乃往古世에 過- 無量無邊- 不可思議阿僧祗劫하여 有佛하니 내왕고세 과- 무량무변- 불가사의아승지겁 유불 名은 雲雷音- 宿王華智- 多陀阿伽度- 阿羅訶- 三藐三佛陀며 명 운뢰음- 숙왕화지- 다타아가도- 아라하- 삼먁삼불타 國名은 光明莊嚴이요 劫名은 喜見이라. 국명 광명장엄 겁명 희견 2, 彼- 佛法中에 有王하니 名은 妙莊嚴이며 其王夫人은 名曰淨德이며 有二子하니 피- 불법중 유왕 명 묘장엄 기왕부인 명왈정덕 유이자 一名은 淨藏이요 二名은 淨眼이라. 일명 정장 이명 정안 3, 是二子- 有- 大神力과 福德智慧하며 久修菩薩- 所行之道하니, 시이자- 유- 대신력 복덕지혜 구수보살- 소행지도 4, 所謂檀波羅密과 尸羅波羅密과 羼提波羅密과 毘梨耶- 波羅密과 禪波羅密과 소위단바라밀 시라바라밀 찬제바라밀 비리야- 바라밀 선바라밀 般若波羅密과 方便波羅密과 慈悲喜捨와 乃至三十七品- 助道法을 반야바라밀 방편바라밀 자비희사 내지삼십칠품- 조도법 皆悉明了通達이니라. 개실명료통달 5, 又得- 菩薩의 淨三昧와 日星宿三昧와 淨光三昧와 淨色三昧와 淨照明三昧와 우득- 보살 정삼매 일성숙삼매 정광삼매 정색삼매 정조명삼매 長莊嚴三昧와 大威德藏三昧하여 於此三昧에 亦悉通達하였느니라. 장장엄삼매 대위덕장삼매 어차삼매 역실통달 6, 爾時에 彼佛이 欲- 引導妙莊嚴王하며 及- 愍念衆生故로 說是法華經하니라. 이시 피불 욕- 인도묘장엄왕 급- 민념중생고 설시법화경 7, 時에 淨藏淨眼二子- 至其母所하고 合- 十指爪掌하여 白言하오대 시 정장정안이자- 지기모소 합- 십지조장 백언 願母는 往詣雲雷音- 宿王華智佛所하소서. 원모 왕예운뢰음- 숙왕화지불소 我等도 亦當侍從親覲하여 供養禮拜하리다 所以者何오 아등 역당시종친근 공양예배 소이자하 此佛이 於- 一切天人衆中에서 說法華經하시오니 宜應聽受니다. 차불 어- 일체천인중중 설법화경 의응청수 8, 母告子言하대 모고자언 汝父- 信受外道하여 深着婆羅門法하시니 汝等은 應往白父하여 여부- 신수외도 심착바라문법 여등 응왕백부 與共俱去케 하라. 여공구거 9, 淨藏淨眼이 合- 十指爪掌하고 白母하오대 정장정안 합- 십지조장 백모 我等은 是- 法王子어늘 而生此- 邪見家리요. 아등 시- 법왕자 이생차- 사견가 10, 母告子言하대 모고자언 汝等은 當- 憂念汝父하여 爲現神變이니 若得見者면 心必淸淨하여 여등 당- 우념여부 위현신변 약득견자 심필청정 或聽我等의 往至佛所리라 혹청아등 왕지불소 11, 於是二子- 念其父故로 踊在虛空하기를 高七多羅樹라 現- 種種神變할새 어시이자- 염기부고 용재허공 고칠다라수 현- 종종신변 12, 於- 虛空中에서 行住坐臥하여 身上出水하고 身下出火하며 身下出水하고 어- 허공중 행주좌와 신상출수 신하출화 신하출수 身上出火하며 或現大身하대 滿虛空中타가 而復現小하고 小復現大하며 신상출화 혹현대신 만허공중 이부현소 소부현대 於- 空中滅하다가 忽然在地하며 入地如水하고 履水如地하여 어- 공중멸 홀연재지 입지여수 이수여지 現- 如是等- 種種神變하사 令其父王으로 心淨信解러라. 현- 여시등- 종종신변 영기부왕 심정신해 13, 時父見子의 神力如是하고 心大歡喜하여 得- 未曾有하고서 合掌向子言하대 시부견자 신력여시 심대환희 득-미증유 합장향자언 汝等師는 爲是誰며 誰之第子인가 여등사 위시수 수지제자 14, 二子白言하대 이자백언 大王하 彼- 雲雷音- 宿王華智佛이 今在七寶- 菩提樹下- 法座上坐하사 대왕 피- 운뢰음- 숙왕화지불 금재칠보- 보리수하- 법좌상좌 於- 一切世間- 天人衆中에 廣說法華經이시니 是- 我等師요 我是第子니다. 어- 일체세간- 천인중중 광설법화경 시- 아등사 아시제자 15, 父語子言하대 부어자언 我今에 亦欲見- 汝等師로니 可共俱往이니라. 아금 역욕견- 여등사 가공구왕 16, 於是二子- 從- 空中下하사 到其母所하여 合掌白母하대 어시이자- 종- 공중하 도기모소 합장백모 父王이 今已信解하여 堪任發-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하이다. 부왕 금이신해 감인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17, 我等이 爲父하여 已作佛事로니 願母見聽하사 아등 위부 이작불사 원모견청 於彼佛所에 出家修道케 하소서 어피불소 출가수도 18, 爾時二子- 欲重宣其意하사 以偈白母하오대 이시이자- 욕중선기의 이게백모 19, 願母放我等하사 出家作沙門하소서 원모방아등 출가작사문 諸佛甚難値에 我等隨佛學하노이다. 제불심난치 아등수불학 20, 如優曇鉢華하여 値佛復難是며 여우담발화 치불부난시 脫諸難亦難이라 願聽我出家하소서. 탈제란역난 원청아출가 21, 母卽告言하오대 聽汝出家하노니 所以者何오 佛難値故니라. 모즉고언 청여출가 소이자하 불난치고 22, 於是二子- 白- 父母言하오대 어시이자- 백- 부모언 善哉父母여 願時往詣- 雲雷音- 宿王華智佛所하여 親覲供養하소서. 선재부모 원시왕예- 운뢰은- 숙왕화지불소 친근공양 23, 所以者何오 佛難得値는 如- 優曇鉢羅華하며 소이자하 불난득치 여- 우담발라화 又如一眼之龜- 値- 浮木孔이라. 우여일안지구- 치- 부목공 24, 而我等은 宿福深厚로 生値佛法이니 이아등 숙복심후 생치불법 是故로 父母는 當聽我等하사 令得出家니다. 시고 부모 당청아등 영득출가 25, 彼時妙莊嚴王後宮에 八萬四千人이 皆悉堪任- 受持是- 法華經하고 피시묘장엄왕후궁 팔만사천인 개실감임- 수지시- 법화경 淨眼菩薩은 於- 法華三昧에 久已通達하며 淨藏菩薩은 已於無量百千萬億劫에 정안보살 어- 법화삼매 구이통달 정장보살 이어무량백천만억겁 通達離諸惡趣三昧하였나니 欲令一切衆生으로 離諸惡趣故며 其王夫人은 통달이제악취삼매 욕령일체중생 이제악취고 기왕부인 得- 諸佛集三昧하여 能知諸佛秘密之藏이러라 득- 제불집삼매 능지제불비밀지장 26, 二子如是- 以方便力으로 善化其父하여 令心信解하고 好樂佛法케 하니 이자여시- 이방편력 선화기부 영심신해 호락불법 27, 於是에 妙莊嚴王은 與- 群臣眷屬俱하고 淨德夫人은 與- 後宮采女眷屬俱하며 어시 묘장엄왕 여- 군신권속구 정덕부인 여- 후궁채녀권속구 其王二子는 與- 四萬二千人俱하여 一時에 共詣佛所하여 到已코 頭面禮足하며 기왕이자 여- 사만이천인구 일시 공예불소 도이 두면예족 繞佛三匝하고 却住一面이러니. 요불삼잡 각주일면 28, 爾時에 彼佛이 爲王說法하사 示敎利喜하시니 王이 大歡悅이러라. 이시 피불 위왕설법 시교리희 왕 대황열 29, 爾時에 妙莊嚴王과 及其夫人이 이시 묘장엄왕 급기부인 解頸眞珠瓔珞하니 價値百千으로 以散佛上하시니 해경진주영락 가치백천 이산불상 30, 於- 虛空中에 化成四柱寶臺하고 臺中에 有- 大寶牀하며 敷- 百千萬天衣하며 어- 허공중 화성사주보대 대중 유- 대보상 부- 백천만천의 其上에 有佛이 結跏趺坐하사 放- 大光明하시니라. 기상 유불 결가부좌 방- 대광명 31, 爾時에 妙莊嚴王이 作是念하대 佛身은 希有하여 端嚴殊特하니 成就第一- 이시 묘장엄왕 작시념 불신 희유 단엄수특 성취제일 微妙之色하니라. 미묘지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第 27 . 妙莊嚴王本事品 .(1) 終.
역자 : 고 성 훈 스님 (발행처 : 우리출판사) 사경(寫經)한 사람 : 해 륜(海 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