海輪 : 大 鏡 2011. 10. 31. 16:05

 

 

 

불상의 종류

 

1.여래상

    여래상은 부처님상을 말한다.

   수인(手印;손 모양)이나 좌 우 보처의 협시보살에 따라 구분되며,

   각 사찰의 법당 명칭을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본래 여래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가리킨다.

   그러나 대승불교시대에 이르면서 수많은 부처님이 등장하고,

   더불어 불상 형태도 다양해진다.

   하지만 이름만 다를뿐 32상(相)80종호(種好)라는 기본 형식은 같으므로,

   손 모양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같다.

   즉 상이 원만하고 육계(肉髻;불상의 정수리에 솟아있는 상투 모양의 혹)와

   백호(白毫;불상의 눈썹 사이에 난 흰 터럭)가 있으며 ,법의(法依)를 입고

   장엄구(莊嚴具)가 없다.

  

  1)석가모니불상      

     항마촉지인.선정인.전법륜인 등의 수인을 하고있다.

     가사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의 모습이다.

     협시로는 문수보살.보현보살 또는 가섭존자.아난존자가 있다.

석굴암 본존불

(사진출처 : 석굴암)

 

  2)아미타불상

     수인은 구품인(九品印)을 하고 있다.

     가사는 양 어깨에 걸친 통견의 모습이다.

     협시로는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 또는

     많은 사찰에서 관세음보살.지장보살을 모시기도 한다.

불국사 금동 아미타불 좌상

(사진출처 : 불국사)

 

  3)비로자나불상

     수인은 지권인을 하고 있다.

     협시로는 노사나불.석가모니불 또는 아미타불.약사여래등 삼존불과 함께

     다섯 부처님을 모시고 있다.

     협시로 문수보살.보현보살을 모시기도 한다.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사진출처 : 불국사)

 

  4)미륵불상

     미래불인 미륵불은 대부분 전각 밖에 따로 모신다.

     수인은 시무외인 또는  여원인 등을 하고 있다.

 

 

  법주사 청동 미륵대불

(사진출처 :법주사)

 

  5)약사여래상

     약사여래는 질병 치료,수명 연장,재화 소멸,의복과 음식 등을 구족시키고자 하는

     부처님으로서 왼손에는 약병이나 약함,오른손은 시무외인을 하고 있다.

     협시로는 일광변조 소재보살.월광변조 식재보살이다.

 고창 선운사 약사여래불상

 

 

2.보살상

    보살상은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머리카락을 늘어뜨린 채 천의를 걸치고,

    장신구로   장엄한 온화한 모습이다.

    보살은 부처의 경지에 이르렀지만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중생과 함께 있는 분이다.

    보살상에는 단독 상도 있지만 거의가 협시상이며,입상과 좌상 등이 있고

    좌상 중에도 가부좌상,의상,가부좌상 등 형태가 다양하다.

    보살은 여래상의 좌 우 보처이기 때문에 여래상을 보고 알 수 있으며,

    손에 든 물건이나 보관의 형태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있다.

   

    1)관세음보살상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보관(寶冠)의 중앙에 아미타불의 화현을 모시고 있으며,연꽃.감로수병 등을

      손에 들고 있다.

      십일면 또는 천수천안의 모습도 있다.

석굴암 십일면 관세음보살상

(사진출처 : 석굴암)

 

  2)문수보살상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로서,주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사자를 타고 있다.

 

석굴암 보살상

(사진출처 :석굴암)

 

 3)보현보살상

    보현보살은 대자비의 실천행을 상징하는 보살이다.

    코끼리를 타거나 연화대에 올라서 있는 모습이다.

석굴암 보현보살상

(사진출처 : 석굴암)

 

 

  4)지장보살상

     지장보살은 대비원력을 상징하는 보살이다.

     스님 모습으로 삭발한 머리에 두건을 둘렀으며,육환장을 들고 있다.

     이 육환장의 꼭대기에 아미타불의 화현을 모시고 있다.

 

고창 선운사 금동 지장보살 좌상

(사진출처 : 문화재청)

 

 

3. 천부신장상(天部神將像)

     본래 인도 재래의 신들로서,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교를 지켜주는 호법신장(護法神將)이 된 신들을

     천부신장이라고 한다.

     귀족 또는 장군,온화한 모습, 진노하는 모습등 갖가지 형상을 하고 있다.

     유명한 상으로는 인왕상(仁王像),사천왕상(四天王像),제석천상(帝釋天像)등이 있다.

석굴암 사천왕상

(사진출처 :석굴암)

 

4.나한상(羅漢像)과 조사상(祖師像)

    나한상은 가섭존자.아난존 등 십대 제자를 중심으로

    오백 나한. 천이백 아라한 등이 있다.

    조사상은 용수.무착.세친.현장.원효.의상.자장.달마.보조 선사등

    인도.중국. 우리나라의 고승상이 있다.

 보조국사지눌스님 

원효대사

 

  

글 : "불교입문"에서 (엮은이 ; 대한불교 조계종 포교원)

 

사진 자료 수집및 옮겨쓴 사람 : 해 륜(海 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