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 한문

第 4 . 信解品 (4)

海輪 : 大 鏡 2013. 1. 30. 11:21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 한  

 

 第 4 . 信解品 (4)

 제 4 . 신해품 (4)

 

62,

佛亦如是하여       知我樂小하사

불역여시             지아낙소

未曾說言-           汝等作佛하시고

미증설언-           여등작불

而說我等이          得諸無漏라 하사

이설아등             득제무루

成就小乘인          聲聞第子하이다.

성취소승             성문제자

63,

佛勅我等하사       說最上道하사대

불칙아등             설최상도

修習此者는          當得成佛이라 하셨거늘

64,

我承佛敎하고서    爲大菩薩하여

아승불교             위대보살

以諸因緣과          種種譬喩

이제인연             종종비유

若干言詞로          說無上道하나니

약간언사             설무상도

諸佛子等은          從我聞法하고

제불자등             종아문법

日夜思惟하여       精勤修習이어늘

일야사유             정근수습

65,

是時諸佛이          卽授其記하사대

시시제불             즉수기기

汝於來世에          當得作佛이라 하시니

여어래세             당득작불

66,

一切諸佛의          秘藏之法

일체제불             비장지법

但爲菩薩하사       演其實事하시고

단위보살             연기실사

而不爲我하여       說斯眞要하니

이불위아             설사진요

67,

如彼窮子-            得近其父하여

여피궁자-            득근기부

雖知諸物이나       心不希取하여

수지제물             심불희취

我等雖說-           佛法寶藏하나

아등수설-           불법보장

自無志願도          亦復如是니다.

자무지원             역부여시

68,

我等內滅코는       自謂爲足하야

아등내멸             자위위족

唯了此事하고       更無餘事하이다.

유료차사             갱무여사

我等若聞-           淨佛國土

아등약문-           정불국토

敎化衆生에는       都無欣樂하니

교화중생             도무흔락

69,

所以者何오          一切諸法

소이자하             일체제법

皆悉空寂하여       無生無滅하며

개실공적             무생무멸

無大無小하며       無漏無爲라 하여

무대무소             무루무위

如是思惟코는       不生喜樂이니라.

여시사유             불생희락

70,

我等長夜를          於佛智慧

아등장야             어불지혜

無貪無著하며       無復志願하고

무탐무착             무부지원

而自於法에          謂是究竟하이다.

이자어법             위시구경

71,

我等長夜에          修習空法하여

아등장야             수습공법

得脫三界-           苦惱之患하고

득탈삼계-           고뇌지환

住最後身인          有餘涅槃하여서는

주최후신             유여열반

佛所敎化에          得道不虛하니

불소교화             득도불허

則爲已得-           報佛之恩이니라.

즉위이득            보불지은

72,

我等雖爲-           諸佛子等하여

아등수위-           제불자등

說菩薩法하며       以求佛道

설보살법             이구불도

而於是法에          永無願樂하니

이어시법             영무원락

道師見捨하사       觀我心故

도사견사             관아심고

初不勸進-           說有實利하시니

초불권진-           설유실리

73,

如富長者             知子志劣하여

여부장자             지자지열

以方便力으로       柔伏其心하고

이방편력             유복기심

然後乃付-            一切財寶

연후내부-           일체재보

佛亦如是하여       現希有事하사

불역여시             현희유사

知樂少者하시고    以方便力으로

지락소자             이방편력

謂伏其心하사       乃敎大智하여

조복기심             내교대지

74,

我等今日에사       得未曾有하니

아등금일             득미증유

非先所望을          而今自得하니

비선소망             이금자득

如彼窮子-           得無量寶니라.

여피궁자-           득무량보

75,

世尊我今에          得道得果하며

세존아금             득도득과

於無漏法에          得淸淨眼하였으며

어무루법             득청정안

我等長夜에          持佛淨戒

아등장야             지불정계

始於今日에야       得其果報하나이다.

시어금일             득기과보

76,

法王法中에          久修梵行하다가

법왕법중             구수범행

今得無漏의          無上大果하나이다.

금득무루             무상대과

我等今者에          眞是聲聞이라

아등금자             진시성문

以佛道聲으로       令一切聞하나이다.

이불도성             영일체문

我等今者에야       眞阿羅漢이니

아등금자             진아라한

於諸世間과          天人魔梵

어제세간             천인마범

普於其中에서       應受供養하나이다.

보어기중             응수공양

77,

世尊大恩이시여    以希有事로서

세존대은             이희유사

憐愍敎化하야       利益我等하시니

연민교화             이익아등

無量億劫에          誰能報者리오.

무량억겁             수능보자

78,

手足供給하고       頭頂禮敬하며

수족공급             두정예경

一切供養이라도    皆不能報하며

일체공양             개불능보

若以頂戴하고       兩肩荷負하야

약이정대             양견하부

於恒沙劫에          盡心恭敬하며

어항사겁             진심공경

又以美饍과          無量寶衣

우이미선             무량보의

及諸臥具와          種種湯藥이며

급제와구             종종탕약

牛頭栴檀과          及諸珍寶

우두전단             급제진보

以起塔廟하고       寶衣布地하야

이기탑묘             보의포지

如斯等事로서       以用供養

여사등사             이용공양

於恒沙劫이라도    亦不能報하리라.

어항사겁             역불능보

79,

諸佛希有하사       無量無邊-

제불희유             무량무변-

不可思議이신       大神通力

불가사의             대신통력

無漏無爲이신       諸法之王으로

무루무위             제법지왕

能爲下劣하사       忍于斯事하시고

능위하열             인우사사

取相凡夫에게       隨宜爲說이오니

취상범부             수의위설

80,

諸佛於法에          得最自在하사

제불어법             득최자재

知諸衆生의          種種欲樂

지제중생             종종욕락

及其志力의          隨所堪任하사

급기지력             수소감임

以無量喩로서       而爲說法하시며

이무량유             이위설법

隨諸衆生의          宿世善根하며

수제중생             숙세선근

又知成熟-           未成熟者하여

우지성숙-           미성숙자

種種籌量-           分別知已하시고

종종주량-           분별지이

於一乘道에          隨宜說三이로소이다.

어일승도             수의설삼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第  4 . 信解品 (신해품);(4)  終

 

         

역자 : 고 성 훈 스님 

(발행처 : 우리출판사)

                                              사경(寫經)한 사람 : 해 륜(海 輪)

 

 

 

'묘법연화경 > 묘법연화경 : 한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 4 . 信解品 (2)  (0) 2013.01.30
第 4 . 信解品 (3)  (0) 2013.01.30
第 5 . 藥草喩品 (1)  (0) 2013.01.30
第 5 . 藥草喩品 (2)  (0) 2013.01.30
第 6 . 授記品 (1)  (0) 201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