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 한글

제4품; 신 해 품(4)

海輪 : 大 鏡 2013. 1. 30. 21:04

 

 

묘법연화경; 한글 

 

제4품; 신  해  품(4)

 

 

 

62.

부처님도 그와 같이                소승 집착함을 알고

너도 성불하리라                    말씀하지 않으시고

여러 가지 샘 없는 법              저희들이 얻었다고

소승 이룬 성문이라                말씀하셨습니다.

 

63,

부처님이 저희들에                 위 없는 길 말씀하셔

이 법을 수습하면                   성불한다 하시기에

 

64.

저희들은 말씀대로                 보살을 위하여서

여러가지 인연이며                 갖가지 비유들과

갖은  말과 변재로써               위 없는 도 말했더니

이에 여러 불자들이                나에게서 법문 듣고

밤낮으로 생각하며                 부지런히 닦았었네.

 

65.

이 때에 여러 부처님               수기하며 하시는 말

너희들은 오는 세상                부처님 을 이루리라.

 

66.

시방 모든 부처님의                비밀한 대승 법장

보살들만 위하여서                 참된 이치 설법하고

저희들을 위하여선                 아무 말씀 안하시네.

 

67.

마치 저 궁한 아들                   아버지께 가까이 가

모든 보물 맡았으니                 가질 생각 전연 없듯

저희들도 부처님의                  법보장을 연설하나

구하는 뜻 없는 것은                또한 그러하옵니다.

 

68.

저희들도 속으로는                  번뇌 끊어내는 것을

스스로 생각하여                     만족하다 여기는 일

어떤 일을 알지만                    다른 일은 몰랐어라

불국토를 맑게하고                  중생들을 교화함을

저희들이 듣더라도                  즐거운 맘 없었습니다.

 

69.

그 까닭을 말하오면                 이 세간의 온갖 법은

모두 다 고요하여                    남과 멸함 다 없으며

작거나 큰 것 없고                   샘이 없고 함이 없다.

이렇게도 생각하니                  즐거운 맘 없나이다.

 

70.

저희들이 오랜 세월                 부처님의 큰 지혜엔

탐착하는 마음 없고                 바래지도 아니하며

저희들이 얻은 법이                 구경이라 생각했네.

 

71.

저희들이 오랜 세월                 빈 법을 닦아 익혀

욕계. 색계. 무색계의               고통에서 벗어나서

최후 몸의 유여열반                 얻었노라 생각하며

부처님의 교화 받아                 참된 도를 얻었으니

부처님의 깊은 은혜                 갚았다고 생각하네.

 

72.

비록 저희 대중들은                 불자들을 위하여서

보살법을 말하면서                  법을 얻게 하였지만

구하려는 마음 없어                 내버려 주시었네.

도사께서 버리시고                  저희 마음 아시므로

참된 이익 있느니라                 권하시지 아니함은

 

73.

아들 뜻의 좁고 적음                 장자가 이미 알고

방편의 힘으로써                      그 마음을 조복하고

아들 마음 크게 한 뒤                많은 재산 물려 주듯

부처님도 이와 같이                  보기 힘든 일로

소승 얽매임을 알고                  방편력을 쓰시어서

작은 마음 조복 받고                 큰 지혜를 가르치네.

 

74.

저희들이  오늘에사                   미증유를 얻었으니

바라던 일 아니지만                   저절로 얻었으니

헬 수 없는 보배 얻은                 아들 같습니다.

 

75.

세존이시여 저는 이제                도를 얻고 과를 얻어

무루한 법 가운데서                   청정한 눈 얻은 것은

저희들이 오랜 세월                   청정 계율 지니다가

오늘에야 처음으로                    그 과보를 얻나이다 .

 

76.

법왕의 법 가운데서                    오랜 수행 닦으 공덕

이제서서야 샘이 없는                 큰 과보 얻었사오니

저희들이 오늘에야                     참된 성문승이니

부처님도 소리로써                     온갖 소리 듣게 하며

저희들이 오늘에야                     참다운 아라한 되니

모든 세간 하늘이나                    사람들과 마와 범천

많은 대중 가운데서                    공양 받게 되었네.

 

77.

부처님의 크신 은혜                    드물게 나투시며

중생들을 제도하사                     이익 얻게 하시오니

억천 겁의 그 은혜를                   누가 능히 갚으리까.

 

78.

손발 되어 받들고                        머리 숙여 예경하며

온갖 정성 공양해도                     그 은혜는 못 갚으며

머리 위에 받들거나                     등에라도 업고 다녀

항하 모래 오랜 세월                    마음 다해 공양하고

훌륭한 음식들과                         셀 수 없는 옷들과

훌륭한 이부자리                         가지가지 탕약이며

우두 전단 좋은 향과                    여러 가지 보배로써

넓고 높은 탑 세우며                    옷을 벗어 땅에 깔고

이러한 온갖 것으로                     항하사의 오랜 겁을

정성 다해 공양해도                     그 은혜는 못 갚으네.

 

79.

드무신 부처님의                          헬 수 없고 가이 없는

불가사의한 자비로                       신통력을 나투시며

샘없는 법 함없는 법                     모든 법의 왕으로서

마음 적은 중생 위해                     이런 일 참으시고

아상 많은 범부에게                      마땅하게 설하시네.

 

80.

부처님 모든 법에                         자유 자재 하시어서

중생들의 모든 욕락                      가지가지 알으시고

그 뜻과 힘을 따라                        감당할 바 알으시고

헬 수 없는 비유로써                     미묘한 법 말씀할 새

지난 세상 중생들의                      숙세 선근 따르셔서

그의 근기 성숙함과                      성숙 못함 알으시어

갖가지로 헤아리사                       분별하여 아시고는

일불승을 설하시려                       방편으로 삼승 쓰네.  제4품; 신해품 (4) 끝.

 

 

 

역자 : 고 성 훈 스님 

 

사경한 사람 : 해  륜(海  輪)

 

'묘법연화경 > 묘법연화경 : 한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품; 신 해 품(2)  (0) 2013.01.30
제4품; 신 해 품(3)  (0) 2013.01.30
제5품; 약 초 유 품(1)  (0) 2013.01.30
제5품; 약 초 유 품(2)  (0) 2013.01.30
제6품; 수 기 품(1)  (0) 2013.01.30